건축공학전공/건축설비
-
공조설비(Air-conditioning System) - 건축설비건축공학전공/건축설비 2020. 9. 16. 21:54
공조설비(Air-conditioning System) - 건축설비 중앙식(Central system) 중앙기계실로부터 조화된 공기, 냉온수를 각 실로 공급하는 방식 대규모 건물에 사용 ▲ 유지관리 편리 ▼ 덕트 스페이스, 파이프 샤프트 필요 개별식(Individual system) 각 존별로 공기조화유닛을 분산 설치하는 방식 ▲ 공기조화유닛 분산 설치 가능 / 개별제어 가능 / 국소운전 가능 ▼ 방음, 방진 유의 필요 / 외기냉방 불가 / 유지관리 곤란 전공기 방식(All air system) 공기만을 사용해 공기조화를 하는 방식 ▲ 실내 공기오염↓ / 외기냉방 가능 / 실내유효면적↑ / 누수염려↓(배관으로 인한) ▼ 큰 덕트스페이스 필요 / 팬의 동력↑ / 넓은 공조실 필요 수 방식(Air-water ..
-
난방설비(Heating equipment) - 건축설비건축공학전공/건축설비 2020. 9. 16. 20:09
난방설비(Heating equipment) - 건축설비 증기난방 보일러에서 생산된 증기를 방열기로 보내 증기의 응축잠열을 이용하는 난방 방식 ▲ 방열면적, 주관 관경 작아도 사용 가능 / 가열시간 및 증기순환 속도↑ / 열 운반능력↑ / 설비비↓ ▼ 방열량 제어 어려움 / 쾌적성↓ / 스팀햄머에 의한 소음↑ / 응축수배관 부식 쉬움 / 고장 및 응축수 처리에 기술 요구 1) 중력환수식 - 중력만으로 환수하는 방식 / 소규모 저압 증기설비 / 보일러↔방열시 높이차 유지시 사용가능 2) 기계환수식 - 환수관 수수탱크에 접속하여 응축수를 모아 보일러에 송수하는 방식 / 높이 상관X 3) 진공환수식 - 환수관 말단에 진공펌프 접속하여 흐름 촉진하는 방식 / 리프트이음 가능 / 순환 빠름 / 설치제한X 온수난방 ..
-
소화설비(Fire extinguishing equipment) - 건축설비건축공학전공/건축설비 2020. 9. 16. 18:55
소화설비(Fire extinguishing equipment) - 건축설비 옥내소화전 건물 각층 벽면에 호오스, 노즐, 소화전 밸브를 내장한 소화전함을 설치한 것 방수압력: 0.17Mpa↑ / 방수량: 130L/min / 설치간격: 건물 각 부분에서 소화전까지 25m↓ 소화수량: 2.6N(m3) *N=최대5 옥외소화전 건축물과 옥외설비의 화재진압용으로 옥외에 설치하는 소화설비 1,2층 바닥면적의 합계가 9,000m2 이상일 때 설치대상, 옥외소화전함은 옥외소화전으로부터 5m내 거리에 설치 표준방수압력: 0.25Mpa / 표준방수량: 350L/min / 설치간격: 건물외부 각 부분에서 소화전까지 40m↓ 소화수량: 7N(m3) *N=최대2 스프링클러 헤드를 실내 천장에 설치, 67~75도 정도에서 가용합금..
-
급탕방식(Hot water supply method) - 건축설비건축공학전공/건축설비 2020. 9. 16. 18:19
급탕방식(Hot water supply method) - 건축설비 개별식(국소식) (Individualized hot water supply) 필요한 위치에 탕비기를 설치하여 소요하는 장소에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 소규모 급탕에 적합 ▲ 배관거리 짧음 / 열손실↓ / 수시로 급탕 사용 가능 / 높은 온도 물 쉽게 확보 가능 / 시설비↓(개소적을때) ▲ 난방겸용 온수 보일러 이용가능 ▼ 가열기 설치공간 필요 1) 순간온수기(즉시탕비기) - 급탕관을 가수or전기로 가열 - 급탕 범위가 좁은 주택 욕실, 부엌 싱크, 이발소 적합 2) 저탕형탕비기(저장형온수기) - 가열된 온수 저탕조 내에 저축 사용 - 열손실↑ - 많은 온수 필요한곳 적합 3) 기수혼합식 탕비기 - 보일러 증기를 물탱크속에 직접 불어 넣어 온수..
-
급수방식(Water supply method) - 건축설비건축공학전공/건축설비 2020. 9. 16. 04:17
급수방식(Water supply method) - 건축설비 수도직결 방식(Direct connection method) 도로에 매설되어 있는 수도 본관에서 급수 인입관 분기하여 건물내에 필요한 장소에 급수하는 방식 소규모 건물, 저층에 많이 이용 ▲ 설비비↓ / 기계실 필요X / 정전시 단수 염려X / 수질오염X(위생적) ▼ 단수시 급수 불가능 / 급수량 변화↑ 고가탱크(옥상탱크) 방식(High water tank method) 고가탱크를 통해 밑으로 세운 급수관을 통해 하향 급수하는 방식 대규모 급수설비에 적합 ▲ 일정한 수압 / 단수시 일정량의 급수가능 ▼ 급수오염 가능성(저수조)↑ / 외관 깔끔X / 설비비↑ / 구조적 보강 고려 필요(수조 중량) 압력탱크 방식(Pressure tank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