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2.2K) 갈림길 그리고 불안함카테고리 없음 2022. 4. 10. 01:46반응형
1. 비트 42.2K
내가 생각하는 중요 변곡 가격대 위치이다. 해당 라인 깨지면 하락추세 / 해당 라인 지키면 상승추세 이어갈 수 있어보임.
금일, 강한 하락도 반등도 없었고 해당 자리 지키는 모습
어제 말했듯 매크로 경제는 하락을 가르키고, 1BTC = 1BTC 관점은 상승이다.
하락할지 상승할지 모르겠다. 그저 대응할 수 있길 바랄 뿐
유튜버들이 항상 말하는 어디 지지하면 어디 까지 반등 열려있고, 어디 뚤리면 어디까지 하락 가능하고 이딴 소리는 하고 싶지도 않다. 귀에 걸면 귀걸이 , 코에 걸면 코걸이
365일 분할매수 하랜다.
반등해서 오르면 분할매수 수익 챙겨셧죠 ? 저 대박이죠 ?
그대로 하락하면, 분할매수니깐 밑에서 더 담으시고 반등할때 털면 이득입니다. 그래서 분할매수가 중요합니다.
양방배팅하고 다 자기말이 맞단다.
결론은, 나는 모르겠다. 시나리오를 그리고 대응을 잘 하길 바랄뿐
2. 이더 전고점 관점
이더 전고점 관점은 지키고 있다. 도미넌스 어제 보다 더 상승하는 모습 보여주고 있고
비트 도미는 오히려 하락이네 ?
차트는 어제와 비슷하니 패스, 같은 자리 비비는 중이다.
평소 보고 있는 루디아벤쳐스 채널에서 비슷한 관점(이더도미)을 이야기해주시니 자신감이 붙는다.
그런데, 이더리움 활성화가 올해말 이전이라는데 내 생각보다 시간이 걸릴수도 있겠다.
당초는 7~8월 여름시즌 고점을 예상했으나 온전한 하반기를 바라보아야하는 건가
오늘은 만약 이더가 전고를 간다고 하더라도 매수한 ENS(이더리움네임서비스) 코인이 맞는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심플하게 이더 배율조정한 롱을 치는게 합리적이지 않나 생각이 드는데, 그래도 ENS가 먹을 자리가 좀 더 크긴한거 같다.
3. 플레이댑
엔진코인이 상승세를 이어가며 P2E에 바람을 불어주나 싶다.
주요 P2E 코인 살펴볼 필요 있어 보인다.
샌드박스
디센트럴랜드
모스코인
엔진코인
플레이댑
1군 엔진 / 모스 / 플레이댑
2군 디센트럴랜드 / 샌드박스
차트 모습이 나뉜다. 1군 차트가 더 좋아보이는데
가파르게 상승 후 조정 받는 모습과
저점을 높여주며 다음 상승을 기다리고 있는 차트
모스는 자체 게임이 성공해야 할 것이고
플레이댑, 엔진은 게임 아이템으로도 묶을 수 있다. 근데 게임 아이템이 잘되려면 킬러 댑이 하나 나와야할텐데
그러면 결국, P2E 전체적인 상승이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