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방설비(Heating equipment) - 건축설비건축공학전공/건축설비 2020. 9. 16. 20:09반응형
난방설비(Heating equipment) - 건축설비
증기난방
보일러에서 생산된 증기를 방열기로 보내 증기의 응축잠열을 이용하는 난방 방식
▲ 방열면적, 주관 관경 작아도 사용 가능 / 가열시간 및 증기순환 속도↑ / 열 운반능력↑ / 설비비↓
▼ 방열량 제어 어려움 / 쾌적성↓ / 스팀햄머에 의한 소음↑ / 응축수배관 부식 쉬움 / 고장 및 응축수 처리에 기술 요구
1) 중력환수식 - 중력만으로 환수하는 방식 / 소규모 저압 증기설비 / 보일러↔방열시 높이차 유지시 사용가능
2) 기계환수식 - 환수관 수수탱크에 접속하여 응축수를 모아 보일러에 송수하는 방식 / 높이 상관X
3) 진공환수식 - 환수관 말단에 진공펌프 접속하여 흐름 촉진하는 방식 / 리프트이음 가능 / 순환 빠름 / 설치제한X
온수난방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배관을 통해 방열기에 공급해 난방하는 방식(헌열 이용)
▲ 온도조절 용이 / 쾌적성↑ / 먼지타는 냄새↓(표면온도↓) / 보일러 취급용이 / 안전성↑
▼ 설비비↑(배관의 관경, 방열면적↑) / 예열시간↑ / 동파우려(운전정지시)
1) 보통온수난방 - 100도 이하(85~90도)의 온수 사용
2) 고온수난방 - 100도 이상의 온수 사용 / 포화압력 이상으로 유지해야 함 / 강판제 보일러, 밀폐식 팽창탱크 필수
3) 중력순환식 - 펌프 이용X / 온수의 온도차에 의한 밀도차로 순환
4) 강제순환식 - 펌프 이용O / 단단볼류트펌프 주로 사용 / 소형일때 라인펌프 사용
복사난방
방을 구성하는 바닥, 천장, 벽체에 열원 매설 후 온수 공급하여 복사열로 방을 난방하는 방식
대류난방시 70~80%가 대류열 의존 / 복사난방은 50~70%가 복사열 의존
▲ 수직온도분포 균등 / 쾌적도↑ / 방열기 필요X(바닥 이용도↑) / 대류↓(먼지 상승X)
▼ 방열량 조절 곤란 / 시공 어려움 / 수리비, 설비비↑ / 고장요소 발견 어려움 / 단열층 필요(열손실 방지용)
▼ 바닥하중, 두께 증대
온풍난방
온풍로로 가열한 공기를 직접 실내로 공급하는 방식
주택, 점포 등 소규모 건물에 설치 적합 / 운전 시간이 비교적 짧은 건물에 용이
▲ 장치 간단 / 설비비↓ / 예열시간↓ / 온도 조절, 풍량 조절, 습도 조절, 환기 가능
▼ 소음과 온풍로의 내구성↓ / 정밀한 온도제어 곤란(취출 온도차 35~50도) / 쾌적도↓
1) 직접 취출형 - 각 실에 온기로 설치 / 덕트없이 온풍 직접 공급
2) 덕트식 - 기계실에 온기로 설치 / 덕트를 통해 온풍을 공급
3) 가열코일식 - 증기or온수 코일에 통과시켜 공기 가열 / 각 실에 공급 / 보일려 필요 / 설비비↑
지역난방
도시or일정지역 대규모 고효율의 열원플랜트 설치하여 생산된 열매를 지역내의 수용가에 공급하는 방식
▲ 폐열 이용한 에너지 이용율↑(화력발전소 35% → 열병합발전 70~80%) / 기기효율↑(대용량 기기 사용)
▲ 대기오염↓(연소폐기물 집중화) / 도시재해 방지 및 비용절감(연료저장 및 수송의 일원화) / 자연보호효과 기대
▲ 인건비 및 연료비↓ / 설비면적↓ / 유효면적↑
▼ 초기시설 투자비↑ / 열원기기 용량제어 곤란 / 열손실↑(배관길이↑) / 고도의 숙련된 기술자 필요
보일러
1) 주철제 보일러
2) 노통연관 보일러
3) 수관 보일러
4) 관류 보일러
5) 입형 보일러
6) 전기 보일러
방열기
1) 주형 방열기
2) 벽걸이 방열기
3) 길드 방열기
4) 대류 방열기
5) 관 방열기
반응형'건축공학전공 > 건축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조설비(Air-conditioning System) - 건축설비 (0) 2020.09.16 소화설비(Fire extinguishing equipment) - 건축설비 (0) 2020.09.16 급탕방식(Hot water supply method) - 건축설비 (0) 2020.09.16 급수방식(Water supply method) - 건축설비 (0) 2020.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