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조설비(Air-conditioning System) - 건축설비건축공학전공/건축설비 2020. 9. 16. 21:54반응형
공조설비(Air-conditioning System) - 건축설비
중앙식(Central system)
중앙기계실로부터 조화된 공기, 냉온수를 각 실로 공급하는 방식
대규모 건물에 사용
▲ 유지관리 편리
▼ 덕트 스페이스, 파이프 샤프트 필요
개별식(Individual system)
각 존별로 공기조화유닛을 분산 설치하는 방식
▲ 공기조화유닛 분산 설치 가능 / 개별제어 가능 / 국소운전 가능
▼ 방음, 방진 유의 필요 / 외기냉방 불가 / 유지관리 곤란
전공기 방식(All air system)
공기만을 사용해 공기조화를 하는 방식
▲ 실내 공기오염↓ / 외기냉방 가능 / 실내유효면적↑ / 누수염려↓(배관으로 인한)
▼ 큰 덕트스페이스 필요 / 팬의 동력↑ / 넓은 공조실 필요
수 방식(Air-water system)
공기와 물을 이용해 공기조화를 하는 방식
▲ 덕트 스페이스↓ / 존의 구성 용이 / 실의 온도제어 편리 / 열운반동력↓
▼ 실내공기 오염 가능성↑ / 실내배관 누수 가능성↑ / 방음, 방진 유의 필요 / 건축계획 지장(유닛의 실내설치로 인한)
전수 방식(all water system)
물(냉온수)를 사용해 각 실에 있는 유닛에 공급하여 공기조화를 하는 방식
▲ 덕트스페이스 필요X / 열운반동력↓ / 개별제어 간편
▼ 실내공기 오염(신선한 외기인입 불가능) / 실내 배관 가능성↑ / 방음, 방진 유의 필요 / 건축계획 지장(유닛 설치)
냉매방식
냉동기, 히트펌프의 열원을 갖춘 패키지유닛을 사용하여 공기조화를 하는 방식
단일덕트 방식
1대의 공조기에 1개의 급기덕트만 연결되어 있는 방식 / 여름에는 냉풍, 겨울에는 온풍을 송풍하여 공기조화
1) 정풍량 방식(Constant Air Volume System)
송풍량은 항상 일정 / 실내부하에 따라서 송풍온도만을 변화시키는 방식 / 바닥면적 크고 천장 높은곳 사용
▲ 외기의 취입, 환기에 유리(실내 송풍량↑) / 외기냉방 가능 / 설치비↓ / 유지관리 용이
▼ 큰 덕트 필요 / 충분한 덕트 공간 필요 / 각 실의 온습도 조절 곤란
2) 가변풍량 방식(Variable Air Volume System)
덕트의 말단에 VAV유닛 설치해 송풍 온도 일정 / 실내부하의 변동에 따라 송풍량만 변화시키는 방식 / 에너지절약형
▲ 온습도 개별제어 가능 / 에너지 손실↓(부하변동 파악하여 실온 유지) / 동력 절약(전부하시 풍량 감소)
▲ 공조기 및 설비용량 감소 가능(동사부하율 고려) / 사용하지 않는 실의 송풍 정지 가능(전폐형 유닛 사용)
▼ 환기량 확보 어려움(부하 감소시 송풍량 감소에 따른) / 실내 공기 오염 가능성 / 설비비↑(변풍량유닛)
2중덕트 방식(dual duct system)
냉풍과 온풍을 각각의 덕트로 보낸 후 말단의 혼합상자에서 냉온풍을 열부하에 알맞는 비율로 혼합하여 송풍하는 방식
에너지 다소비형 / 고급 사무소건물, 냉난방부하 분포 복잡한 건물 사용
▲ 온습도 개별제어 가능 / 계절마다 냉난방 전환 필요X / 융통성 있는 계획 가능(칸막이or공사비 증대 따른)
▼ 운전비↑ / 설비비↑ / 차지하는 면적↑(이중덕트) / 혼합손실↑
멀티존 유닛방식(Multi-zone unit system)
이중덕트방식의 변형 / 공조기 1대로 냉온풍 동시에 만들어 공조기 출구에서 각각의 덕트로 송기하는 방식
각 존별로 온습도의 개별제어 가능 / 덕트스페이스 증가 / 중간규모 이하 건물 사용
각층 유닛방식
외기처리용 중앙공조기가 1차 처리된 외기를 각 층에 설치한 각층 유닛에 보냄 / 필요에 따라 각층 유닛이 가열 및 냉각
▲ 각 층 부분운전 가능 / 각 층 온습도 조절 가능 / 중앙공조기or덕트 소형으로 사용 가능 / 외기냉방 가능
▼ 유지관리 곤란(공조기 분산에 따른) / 각 층 공조기 설치공간 필요 / 각 층 공조기 소음 및 진동 발생 우려
유인유닛 방식(Induction unit system)
중앙에 설치된 1차공조기에서 냉각감습or 가열가습한 1차공기를 고속,고압으로 실내의 유인유닛에 보냄
유닛의 노즐에서 불어내고 그 압력으로 실내의 2차공기를 유인하여 혼합분출 / 유인된 공기는 코일에 의해 냉각, 가열
▲ 각 실별 개별제어 가능 / 기계설치 스페이스, 덕트스페이스↓(중앙공조기 소형) / 전기배선 필요X(송풍기, 전동기X)
▼ 건축계획상 지장(유닛의 실내설치) / 유닛내 노즐 막힘 현상 / 유지, 관리 곤란(유닛수량↑) / 유닛 가격↑ 소음↑
팬코일유닛 방식(fan coil unit system)
실내형 소형공조기를 각 실에 설치해 중앙 기계실로부터 냉수or온수를 공급하여 전수방식으로 공기조화하는 방식
▲ 개별제어 가능 / 장래 증설계획시 팬코일 유닛의 증설만으로 용이하게 가능
▼ 건축계획상 지장(유닛의 실내 설치) / 유지, 관리곤란(유닛 분산설치) / 고성능필터 사용 어려움(소형)
▼ 고도의 공기처리 불가능(실내형 소형 공조기) / 외기공급을 위한 별도의 설비 병용 필요
복사패널 덕트병용 방식(panel air system)
바닥, 천장, 벽면을 복사면으로 하여 실내현열부하의 50~70% 처리 / 나머지는 중앙공조기의 덕트를 통해 처리
▲ 현열부하 큰 경우 효과적 / 쾌감도↑ / 외기 부족현상↓ / 조명부하, 일사열 부하 쉽게 처리 가능(냉방시)
▲ 이용공간↑(바닥에 기기배치X) / 건물의 측열 기대 가능 / 덕트스페이스의 열운반 동력↓
▼ 단열시공 완벽 요구 / 시설비↑ / 융통성↓(방모양 변경시) / 패널의 결로 우려(냉방시) / 풍량↓
패키지유닛 방식(냉매방식, Packaged unit system)
냉동기를 포함한 공기조화설비의 주요부분이 일체화된 방식 / 냉낭방만을 위한 유닛, 냉낭반 모두 위한 유닛 존재
▲ 공장생산(현장시공 간편) / 공기단축 / 유닛추가 용이 / 기계실면적, 덕트스페이스↓
▼ 유닛 분산배치(보수관리 곤란) / 방음, 방진 유의 필요 / 개별제어 곤란
반응형'건축공학전공 > 건축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방설비(Heating equipment) - 건축설비 (0) 2020.09.16 소화설비(Fire extinguishing equipment) - 건축설비 (0) 2020.09.16 급탕방식(Hot water supply method) - 건축설비 (0) 2020.09.16 급수방식(Water supply method) - 건축설비 (0) 2020.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