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
(40.4K) 횡보 그리고 중간점검코인 2022. 4. 16. 23:27
1. 비트코인 기존 추세선 비비며 버티는 중 하락했을때 다음 추세라인은 37K 간다면 악재를 동반할텐데, 금리인상 0.5%가 주가 되지 않을까 싶다.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은 장기전으로 가고 있고, 시장의 피로도가 극에 달해있기에 반영이 어렵다. 금리인상은 금년도의 핫이슈이다. 0.5% 한번한번의 영향력이 엄청나고, 레버리지 자금비율이 높은 코인 시장은 금리 상승에 큰 폭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 전부터 항상 같은 의견이지만 매크로경제 관점=숏 / 1BTC=1BTC 관점 롱이다. 해당 답은 나으리들이 결정하시니 대응이 필요할 뿐이다. 그 어려운 매크로 경제를 뚫고 이더리움 2.0 및 POS 전환에 따른 이더리움 도미넌스 및 가격상승으로 인한 불장 가능성도 염두하고 있기에 머리는 "숏" 가슴은 "롱"이다..
-
(41K) 하락에 임하는 자세코인 2022. 4. 11. 23:51
1. 비트코인 41K 내일은 CPI 지수 발표 - 세계의 기업들은 40년만의 역대 최고치를 예상하고 있다. 비트코인 개별 호재 소멸 - 테라재단, 루나재단의 지트코은 매수는 어느정도 끝남 주요 지지선이라고 생각했던 42K는 뚤렸고 40K 추세선 37K 박스권 추세선 정도 남았다. 많이들 보고 있는 3중 천정형 구조 및 대형 헤드엔숄더 헤드엔숄더의 이상적인 비율은 모르겠고, 워낙 모양이 다양하다고 알고 있어 1:1:1 비율로 보았을때 최고점 위치는 4월 말 ~ 5월 초 정도 현재 가격에서 50%이상 상승 이게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 엄청난 호재를 동반하지 않는이상은 어려워 보인다. 요 몇일간 이더리움도미넌스 끌어올리며 좋은 모습보여주었는데 오늘 갑자기 이더 큰 하락 보여준다. 기대했던 장.중.단기 이평선이..
-
(42.9K) 이더리움 붐은 온다.코인 2022. 4. 8. 23:23
1. 비트코인 42.9K 연일 하락세 기록 중 내가 의미있는 지지라인이라고 생각하는 42K 부근이 다와간다. 해당 라인 확정돌파하면 하락 추세로 볼것이고 지지 후 다시 올라가면 조정으로 볼것 해당 라인이 피보나치 0.618 위치와도 겹친다. 이평선 관점에서는 단기이평과 중기이평이 만나는 데드크로스 만들 수 있는 상황 매크로 경제는 이슈가 딱히 없어 곧 뭐하나 터질때가 되었지 않나 싶기도 한다. 그동안 전쟁 등 굵직굵직한 이슈들이 있었기에 금리인상만 바라보고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숏이 맞는데, 1BTC = 1BTC 관점에서는 장기적으로 롱이 맞다. 2. 이더리움 최근 비트 떨어지며 도미넌스 회복하는 모습보여주었으나 금일 비트 떨어짐에도 도미넌스 지지부진 왜 그럴까 차트 돌려보니 이더리움도미넌스 상승 중 이더..
-
ENS 코인에 관하여(Feat. 차트관점 및 아이디어)코인 2022. 4. 4. 00:50
1. ENS코인 개요 https://osmin-architectural-engineering.tistory.com/126 ENS 코인에 관하여(Feat. 개발자) 최종목표 - 이더리움 주소의 이름을 지정하는 것 - IPFS 사이트와 같은 콘텐츠를 해결하는 것 - 여러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분산된 ID 시스템이 되는 것 EX) Ethereum dapp / web2 / defi 동시에 한 아이디로 osmin-architectural-engineering.tistory.com 2. 투자아이디어 간단하게, 이더리움 2.0 활성화에 따른 이더리움 가격 상향 예상 → 당연히 주목 받을 수 밖에 없는 이더리움 섹터 및 WEP3 섹터 대전제인 이더리움 가격상승이 나와주어야 하는데 이더리움 가격상승이 이루어 질꺼라고 생각..
-
플레이댑에 코인에 관하여코인 2022. 4. 3. 00:59
가만히 있을수는 없으니 플레이댑 코인 조금 더 자세하게 뜯어 보자. 1. 거래량 코인마켓캡 기준 코인게코 기준 거래량은 타 거래소 제외하고 업비트만 봐도 무방할 것 같기에 업비만 참고 장기이평 3번 닿은 후 끌어올리는 과정 저항위치는 1450 / 2100 / 4500 4개월가량만에 터지는 거래량 21년 2월 초 300퍼 상승 직전 거래량은 크지 않았고 그 다음날 300퍼 이상의 상승을 보여주었다. 특이한 점이라고 하면 상승 2틀 전날 이평 밑 지지라인을 깨버리는 큰 하락이 나왔다는 점인데 날짜 및 타코인들과 비교해보니 조금 더 심한 정도이다. 21년 7월 상승 단기 이평 1회 끌어올린 후 재차 하락(비트 커플링) 중기 이평 바닥 만들어주고 단기이평 골크 뜨면서 급상승 재차 끌어올릴때 단기이평 살리며 올려..
-
(44.5K) 60초 후에 공개합니다.코인 2022. 3. 27. 15:34
잘 진행되던것을 끊는듯, 방향성이 나온듯 만듯 하는 약슈팅이 나와주었다. 약 10퍼센트가량의 슈팅.. 업비트는 어제 질리카 100퍼센트 슈팅을 이후로 40퍼 이상의 슈팅을 보여주는 종목이 꾀나 보인다. 캐리프로토콜은 그 중에서 상승기류에 약간이나마 편승했다가 다시 본래 자리로 되돌아 온 느낌.. 3월 중순 변곡점이라고 생각하고 당초 골랐던 종목은 1) 스택스 2) 스톰엑스 그렇기에 스톰엑스에 대한 포모가 계속해서 온다. 그때 잡았던 평단은 16~18 정도 그냥 진득하게 기다렸으면 어땟을까 ? 매수한 이후에 스택스는 48%의 슈팅을 보여주었고(현재 조정으로 매수가 대비 20%정도) 스톰엑스는 예전 매수가 대비 70%이상의 상승률에 달한다. 위 2개의 종목이 질리카, 이더리움클래식, 카이버네트워크, 쿼크체인..
-
(42.5K) 기다림, 선택권은 없다.코인 2022. 3. 22. 20:00
1. 비트코인 - 금일 2000불가량의 장대양봉 출현 - 금리인상은 지나갔고, 전쟁이슈도 듣는이들의 피로도가 있으니 작아진듯 하다. - 나스닥, 코스피도 전체적인 방향은 회복을 가르키고 있으니 시장상황이 나쁘진 않다. 2. 트렌드 1) 무비블록(엽전주) - 바이낸스 발 가두리로 보인다. 코인펀더멘탈이 급작스럽게 상승한것도 아니고, 호재가 지속적으로 쌓인것도 아니다. - 무비블록을 필두로, 메인프레임 / 캐리프리프로토콜 / 썬더코어 등의 엽전주가 살아나는 듯했으나 현재는 무비만 달려나가는 중 - 2가지(구메이저/엽전) 메타를 한꺼번에 담기에는 자금의 흐름이 넉넉하지 않다. 2) 이더리움클래식(구메이저) - 반감기 이슈(5월 1일) / 이더리움 2.0 업데이트 및 POS 전환을 이슈로 하여 가격상승을 이끌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