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플레이션에 대한 생각(2022.02.01)과거를 통해 배우다. 2022. 2. 1. 01:51반응형
1. 인플레이션 현 상황
스크루플레이션 진행 중이고 양극화는 점점 심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앞서 글 작성)
이전 글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려고 한다.
https://osmin-architectural-engineering.tistory.com/137
스크루플레이션(Screwflation)에 관하여(Feat. 인플레)
1. 스크루플레이션(Screwflation) 개요 돌려 조인다(Screw) + 인플레이션(inflation) 즉, 인플레이션은 진행되고 있으나, 1) 내 급여는 오르지 않는다 or 2) 물가가 내 월급 상승률 이상으로 상승한다. 2가지
osmin-architectural-engineering.tistory.com
2. 공급자 측면에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
1) 물류비 상승
(A) 항만적체 현상 진행 중 → 낡은 인프라 수리 및 대형 화물선 항만 준설 → 하지만, 인력문제로 여전히 어려움(컨테이너 환수기간, 항만노조 등)
(B) 탄소중립 문제 대두 → 저효율 노후선 등 온실가스 배출 선박 퇴출 유도(인센티브 및 페널티) → 노후선 활용 어려움
(C) 소비패턴의 변화 →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화 → 물류 체계 과부하 → 소비패턴이 오프라인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는가 ? → NO → 점진적 변화 가능하나 예전처럼은 불가능
▶▶▶ 중국의 춘절연휴를 앞두고 SCFI 지수 잠시 내려가며 숨고르기 중이나 장기적으로 해결은 쉽지 않아 보임. 왜 ? 장기적으로 공급망 정체가 지속될 것은 확실하고, 나머지는 소비자의 영역인데 조절은 어렵기때문에
2) 원자재 가격 상승
(A) 국제유가 가격 상승 진행 중 → 공급측면에서의 복합적인 불확실성 문제
(B) LNG 가격 상승 진행 중 → 공급측면에서의 복합적인 불확실성 문제(가스 시장경쟁, 에너지전환 정책, 코로나 등) → 당장 증설가능한가 ? → NO → 코로나라 증설도 힘들뿐더러 지금 시작해야 2~3년뒤 사용가능
▶▶▶ 석유 등 가스에너지를 제외하고도 철강,구리와 같은 금속자재들도 급격한 상승을 보여주고 있기때문에 당장 해결될 문제는 아닌것 같다.
3) 인건비(노무비) 상승
(A) 미국 구인난
https://m.mk.co.kr/news/economy/view/2022/01/24316/
"미국서 구인난으로 임금 오르고 물가 상승…연준 대응 중요"
한은 보고서…"임금과 물가 간 상관관계 강해져"
www.mk.co.kr
(B) 중국 고령화
‘세계의 공장’ 중국이 늙어간다… 주거-교육비에 출산 기피[글로벌 포커스] (naver.com)
‘세계의 공장’ 중국이 늙어간다… 주거-교육비에 출산 기피[글로벌 포커스]
《중국의 지난해 출생자 수가 6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선진국까진 갈 길이 먼데 벌써부터 ‘출생자 급감’과 ‘빠른 고령화’라는 난제를 만났다. 풍부한 노동력으로 ‘세계의 공장’이
n.news.naver.com
▶▶▶ 구인난 → 임금 상승 → 인플레 가속화 순환고리 발생, 여기서 공통적인 원인은 (1)양극화 (2)자산가격 상승 (3)출산률 감소 및 인구고령화 크게 세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 인건비 문제도 당장 해결 어려운 문제이다. 당장, 우리나라만 보앗을때도 임금이 내려가는것을 본적이 있는가 ? 최저임금을 두고 올릴 생각만하지 절대 내려가지 않는다. 당장 수요와 공급의 법칙을 보았을때도 공급이 딸리는데 내려갈 리가 있나. 이게 세계적인 흐름이고 인건비는 계속해서 우상향 할 것.
3. 당장 드는 생각들
▶▶▶ 앞서 글들에서는 인플레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은 (1)세계적으로 ESG 규제 철회(특히 중국) (2) 금리 상승 이며 미국에게 편한 방법은 금리 상승이라고 기술하였었다.
현재 글도 마찬가지다. 인플레 줄일 수 있는 방안은 (1) 공급자 측면의 제조원가를 낮추던가 (2) 금리 상승 하던가
결론은, 금리상승으로 귀결된다.
반응형'과거를 통해 배우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위기는 언제 올까 ? (0) 2022.02.14 가치있는 예측에 관하여 (0) 2022.02.06 반복되는 흐름에 관하여(2022.01.28) (0) 2022.01.28 스크루플레이션(Screwflation)에 관하여(Feat. 인플레) (0) 2022.01.27 반복되는 흐름에 관하여(2021.01.25) (0) 2022.01.25